☁️ AWS (Amazon Web Services)출시: 2006년운영사: Amazon특징:가장 성숙하고 안정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서비스 종류와 글로벌 리전 수가 가장 많음대기업, 스타트업 모두 많이 사용주요 서비스:EC2 (가상 서버)S3 (스토리지)RDS (데이터베이스)Lambda (서버리스 함수)SageMaker (AI/ML 플랫폼)☁️ Microsoft Azure출시: 2010년운영사: Microsoft특징:윈도우 서버, Active Directory, .NET 기반 시스템과의 궁합이 좋음기업용 시장 점유율 높음 (특히 금융/공공기관 등)Office 365, Power BI, Dynamics 등 MS 제품과 연계 가능주요 서비스:Azure Virtual MachinesAzure Blob Storag..
DevOps, 인프라

로그인할 shell 명령어를 변경해주어야 한다. chsh 지금은 /bin/sh로 되어있었고 바꿀 값을 입력해 준다. /bin/bash 이제 방향키도 잘 먹고 기존에 $로 되어있었는데 내가 알던 모습으로 변경 완료✨

우선 지금 나의 상황 : 커밋하고 푸시까지 했지만 커밋 메세지를 수정하고 싶은 상태 (issue 관리 등등의 이유로,,) 근데 다른사람과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할때는 rebase를 정말정말 조심해야한다. 하지만 나는 혼자 하구 있으니까 그냥 할거야. 뚱땅뚱땅🔨 # 커밋이 온라인으로 푸시되지 않은 상태 - 가장 최근의 커밋 메세지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git commit --amend - 그 이전의 커밋을 수정하고 싶다면 git log를 통해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건 나중에 정리 # 커밋을 이미 푸시한 경우 - 가장 최근에 푸시된 커밋의 메시지 변경 git push --force-with-lease origin main - 더 아래의 커밋 메세지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git rebas..

현재 나의 README 상태 아주 깜찍하지만 나를 소개하기에는 조금 부족한 면이 있다. 이제 데이터 엔지니어링을 공부하는 사람에서 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기 때문에 리드미를 업데이트하려고 한다! 1. 이모지 (Emoji) 우선 깃허브에서 제공하는 이모지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페이지를 소개하겠다!! 원래는 https://github.com/anuraghazra/github-readme-stats 이곳에서 찾아서했는데 댓글에 이걸로 페이지를 만드신 분이 계셔서 더 간편하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https://github-emoji-picker.vercel.app/ GitHub Emoji picker github-emoji-picker.vercel.app 원하는 이모지를 찾아 클릭만 해주면 자동으로 복사..

도커 컨테이너의 상황을 크게 세가지로 볼 수 있는데 아직 없는 상황과 죽은(멈춘)상황 살아있는 상황 각 상황마다 shell에서 컨테이너를 부르는 명령어가 다르다. 처음 생성할 때 docker run -it --name docker_name ubuntu run 명령어를 통해 처음 컨테이너를 입성하는 것이고 -it 옵션을 통해 foreground에서 컨테이너와 유저 간 command line으로 소통하게 하고 ( i:입출력, t:터미널 ) --name 옵션을 줘서 컨테이너 이름을 지정할 수 있고 (안하면 자동으로 아무이름 지어줌) ubuntu 이미지를 붙여줄 것이다. 현재 돌아가고 있는 컨테이너 확인 docker ps -a 죽은 상황 docker start -i docker_name 살은 상황 docker ..

도커를 사용하기 위해 dockerhub에서 ubuntu 공식 이미지를 pull해오려 했다. 그런데 retrying엄청하더니 돌아온 말은 local error: tls: bad record MAC 에러,,, 이게 뭔일이야 하고 도커 세팅 파일도 건드려보고, windows 기능도 건드리고, 작업관리자도 봤다가 방화벽까지 내려봤는데 실패 결론을 바로 말씀드리자면 LAN의 문제였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다만 나는 인터넷을 KT를 사용하고 있었고 LAN선을 꼽고 시도했을때 계속 실패를 했었는데 LAN선을 뽑고 와이파이로 연결을 해서 pull을 하니 바로 아주 간단히 성공이 됐다^^ 와이파이도 KT공유기 인뎀,,, LAN에서 뭐 다른 장치가 있었는지 KT에서 이런 이슈가 종종 있었다고 하니 혹시 이러한 문제를 겪고..

도커를 써야하는 이유 원하는 개발 환경을 파일에 저장해두면, 어느 머신에서든 해당 환경을 시뮬레이션 해줌 이러한 환경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모듈식으로 관리 가능함 도커 로그인 회원가입 : https://hub.docker.com/ docker login 우분투 이미지 pull 도커허브에서 원하는 환경을 검색해서 가져오면 된다. docker pull ubuntu 우분투 기반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it --name de_base ubuntu:20.04 # -it : 컨테이너의 터미널에 접근 # --name : 컨테이너 이름 패키지 관리자 업데이트 apt update -y # -y : 업데이트 진행여부를 물어볼 때 y를 자동으로 입력 apt upgrade -y 필요 서비스 다운로드..

이 게시글을 찾아들어온 분들이라면 커밋할때 사용하는 user.email과 github에서 사용하는 이메일이 같아야 contributions 즉, 잔디 심기가 된다는 것을 뒤늦게 아신분이라 생각이 든다. 내가 그랬기 때문이다^^ git을 2년 넘게 사용하면서 그저 협업의 용도, 버전 관리의 용도로 사용했지 내 github를 꾸밀 생각도 못했고 관심도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 '잔디 심기'라는 것을 알게되어 내 잔디 현황을 살펴보니 ........? 왜 텅텅 비어있는거죠??? 3번의 대학 협업프로젝트와 인턴 중 1번의 개인프로젝트를 통해 열심히 커밋을 했는데 왜 나는 민둥산인거지..? 멘탈이 무너졌다. 잔디 현황판을 통해 성실성을 보는 회사도 있다던데 나는 어떠케 되는거지 주륵 (근데 사실 별 상관은 없을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