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예제문제 실습을 하고, 혼자 개발을 해오다가 처음으로 협업을 하게 되면 제일 먼저 듣는 것이 Git일 것이다.
Git중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이 GitHub이다.
visual studio에서 github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전에 git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다.
1. 효과적인 협업
혼자서 작업을 할 때는 깃허브 없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큰 어려움이 없지만, 여러사람이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 상당히 번거로운 부분들이 생기게 됩니다. 작업을 한 후 일일히 상대방의 메일을 통해 파일을 보내주어야하고 파일을 보내고 받는다 하더라도 제대로 구동이 안되는 경우도 발생을 합니다. 또한 파일 자체를 주고 받기 때문에 수정된 부분이 무엇인지 확인하기가 어렵고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게 됐을 때 누락되거나 꼬이는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깃허브를 사용한다면 push/pull을 통해 빠르게 파일을 업데이트 할 수 있고, 이미 업데이트가 된 파일의 전 버전을 새로 작업해서 올리려고 하면 conflict가 발생하여 바로 덮어 씌우는 문제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누가 어떤 무부분을 수정했는지 알 수 있기때문에 효과적으로 협업을 할 수 있습니다.
2. 효율적인 버전관리
프로젝트는 한번에 완성되기 힘들고 여러번의 수정을 통해 완성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수정을 하다가 엉켜서 더 많은 문제들이 생기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깃을 사용하지 않고 개발을 하게 되면 수정하기 전 단계로 돌아가기가 힘이 듭니다.
하지만 깃허브를 사용하게 되면 언제든 새로운 내용을 기록하여 올릴 수 있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하는 시점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됩니다.
git을 사용해야하는 가장 큰 장점을 위 두가지로 뽑을 수 있을것 같다. 그 외에도 open source를 활용하여 더 나은 소스로 발전시킬 수도 있을것이고, git을 포트폴리오처럼 관리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처음에 git을 사용하다보면 많이 꼬이기도 하고 잘 안돼서 그냥 파일을 주고 받게 될지로 모른다. (내가 그랬다,,)
하지만 이 장점들을 의식하며 연습하고 git마스터가 코딩마스터가 되어보자!
'DevOps, 인프라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이전 커밋 user.email 바꾸기 - 잃어버린 내 잔디 심기 (1) | 2022.07.11 |
---|---|
[Git] CLI (Git Bash) 를 통해 Git 사용하기2 - Git 기초 (0) | 2022.07.11 |
[Git] CLI (Git Bash) 를 통해 Git 사용하기1 - CLI 기초 (0) | 2022.07.10 |
[ Git ] Conflict상황 시 해결 방법(visual studio merge tool 사용 방법) (0) | 2020.10.11 |
[ Git ] Visual Studio GitHub 연동 방법 정리 (0) | 2020.10.11 |